본문 바로가기

Linux Embedded

Windows 10에 Ubuntu를 설치해보자

안녕하세요 리눅스의 시작을 위해 우분투를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리눅스 중에 왜 우분투냐? 여러버전을 찾아본 결과 우분투만큼 입문하기 좋은 리눅스가 없더라고요 ㅎㅎ;

게다가 Windows 10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WSL)'을 지원하게 되면서 윈도우 상에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어 선택한 이유 중 하나고요~

 

일단 WS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상에서 활성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하세요

제어판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들어가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체크하여 기능을 켜주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변경할 내용을 적용하고나면 다시 시작을 눌러 PC를 재부팅해줍니다.

재부팅 후에 Microsoft Store에 접속하여 검색란에 Ubuntu를 검색해줍니다.

검색 결과로 나온 Ubuntu를 받기를 눌러 설치해줍니다. 이때 Microsoft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시작을 눌러 실행시켜줍니다.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터미널 창이 열립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화면이 뜹니다. 자주 쓰는 걸로 입력하고 패스워드는 잊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줍니다.

입력하고 나면 아래 사진처럼 초록색 글씨와 함께 Bash 쉘이 화면에 나옵니다.

여기서 쉘(Shell)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라고 하고
다양한 쉘이 있지만 그중 Bash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합니다.
echo $SHELL

라는 명령어를 쓰면 아래 사진처럼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쉘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우분투 설치 마지막 단계로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명령어를 실행시켜 마무리해줍니다.

아래 사진처럼 계속 진행을 원할 때 Y를 눌러줘야 다음 실행이 진행됩니다.

그러면 done. 이라는 메세지와 함께 우분투 설치는 끝입니다.

설치를 하고 나니 명령어가 뭐가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어 보여요

다음에는 리눅스 명령어들이 뭐가 있고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볼 예정입니다.

'Linux Embedd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리눅스 듀얼부팅을 해보자  (0) 2021.12.07
Makefile을 사용해보자  (0) 2021.11.09
우분투에서 C코딩을 해보자  (0) 2021.11.01
리눅스를 시작하면서  (1) 2021.10.25